Translated by koreandogs.org and volunteers. Please share!
법정스님의 개식용반대론
Venerable Beopjeong Buddhist Priest’s Argument Against Dog Meat Consumption
한국은 오는 2002년에 일본과 함께 월드컵 축구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Korea became a co-host of the World Cup soccer tournament with Japan in 2002.
개최의 기쁜 소식과 함께 외국의 동물애호가 협회에서 한국의 개고기 습관을 비판하는 보도가 있었다.
Along with this great news was criticism by foreign animal welfare organizations on Korean dog meat consumption.
우리의 기억에 88올림픽 때에도 그러한 경험을 한 한국인으로서는 참으로 난처한 모욕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일반적인 느낌이다.
For Koreans, who remember having experienced a similar situation during the 1988 Seoul Olympics, the general feeling was that it was a very perplexing insult.
그러한 때에 연이어 동남아시아에서는 한국인들의 웅담채취를 위한 무찹려한 곰도살 행위가 적발되어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고 이 또한 매우 심각한 현실이요 부끄럽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Around the same time, it was uncovered that Koreans in Southeast Asia were slaughtering bears indiscriminately to extract their bile and it became a global issue. This is also a very grave reality and it’s a fact that we feel ashamed about it.
그러나 아무리 그러해도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개고기를 좋아하고, 또 곰의 쓸개인 웅담을 질병 치료의 중요한 약재로 생각하고 있는 한의학에 대한 믿음이 한국사회에 널리 퍼져있는 입장에서 볼 때는 개와 곰의 밀도살은 막을 길이 없는 것이다.
However, despite this, there is no way to stop the illegal slaughter of dogs and bears because most Koreans agree with dog meat and the belief in Oriental medicine that bear bile(from the gall bladder) is an important medicinal ingredient that treats diseases is widespread in Korean society.
그런데 개고기의 문제를 논함에 있어서, 주간지 『한겨례21』(96년 7월 19일)은 본격적으로 한국인들의 개고기 식습관을 변호하였다.
In discussing the dog meat issue, weekly magazine Hankyoreh21 (7/19/1996) fiercely defended Korean’s dog meat consumption.
많은 개고기 업자들의 요청과 또 개고기를 즐기는 사람들의 의견이 반영된 편집이었지만 찬성 일변도의 편집인 것이다. 그러나 그 내용이 매우 이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또 얼토당토 않는 주장들이 횡행하는 것이다.
Reflecting the opinions and requests from many dog meat traders and dog meat consumers, it was evident that the editorial sided only with pro-dog meat views. However, their view went in a very strange direction and were rampant with ridiculous claims.
이에 필자는 한마디 조언하여 잘못된 가치관을 바로 잡고 불교본연의 동물애호 사상을 고취시켜 한국인들의 정서를 순화해서 그로 인한 사회의 정화에 일조하고자 한다.
Hence, I would like to offer advice on such wrong attitudes and sentiments and, instill the fundamental Buddhist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to contribute to the purif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주간지 『한겨례21』은 민속학자 주모씨를 동원하여, 개고기 식습관은 한민족의 전통적인 식문화이며 또 그것은 중국에서도 있었던 일이기에 동양의 오랜 역사적 전통이 있는 것이며 또 식문화의 다원주의에 입각하여 한국의 개고기 식습관은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With support from folklorist, Kang-Hyun Ju, weekly magazine Hankyoreh21 argued that Korean’s dog meat consump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accepted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food culture. Also it argued that the fact that it is also practiced in China means it is deep-rooted in old historical traditions of the East and based on the cultural pluralism of food.
또 주간지 『한겨례21』은 ‘동물애호’라는 서양사상으로 함부로 동양을 재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Moreover, Hankyoreh21 argues that the East should not be influenced by the Western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여기에서 개고기 식습관은 전통적이라는 점과 문화적 다원주의 관점이라는 점과 동물애호가 서양사상이라는 이 세 가지의 주장들이 문제가 될 것이다.
In the article, three arguments are problematic, that dog meat consumption is our tradition, that it is a matter of cultural pluralism, and that the “Humanity towards animals” is a Western ideology.
첫째, 우리 고유의 식습관의 전통이라는 주장은 그 동안 일반 국민들의 의견이었다.
First, the argument that dog meat consumption is our traditional eating habit was the opinion of the general public up until now.
그러나 우리 전통은 무엇이가, 과연 한국의 과거역사가 어떤 한가지의 전통이라고 볼 수있는가.
However, what is the definition of our tradition? Can a past history be defined as a tradition?
불교의 전통 그리고 도교 또 유교 그리고 민속적 전통 등등이 혼재한 상황에서 어느 하나를 전통이라고 하겠는가마는 그래도 불교의 문화 전통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불교의 동물애호사상과 정면으로 위배되는 개고기 식습관은 절대로 전통문화가 될 수 없고, 그것은 국민 일부의 한 식습관에 불과한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define something as a tradition in an environment where traditions from Buddhism, Taoism, Confucianism, other folk traditions, and so on, are all mixed together. However, because the Buddhist cultural tradition is still very strong in Korea, and dog meat consumption directly violates the Buddhist’s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dog eating can never be a cultural tradition and is only an habit of some people.
개고기 식습관은 현대에 와서 노골화 되었지 사실 과거에는 여성들의 금기식이었고 사회전반까지도 꺼리는 요주의 식품이었던 것이다.
Dog meat consumption has become conspicuous nowadays but in the past dog meat was a taboo food for women and regarded as a distasteful food that was shunned by the society.
그리고 설령 과거의 식습관이라고 하더라도 과거가 그러하니 현대에도 그래야 한다는 것은 맞지 않는 주장이다. 한 사회의 문화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발전하게 마련인 것이다.
And even if it was an eating habit of the past, just because it was done in the past does not mean, we have to continue doing it today. To say we do is a false -argument. Culture must progress with the flow of time.
정치나 사법제도 그리고 인권 등은 이러한 사회발전에 입각해서 점차 발전하게 된다. 생활문화도 그러하다. 예를 들면 조선조식의 한복은 꼭 서양식 의복이 아니더라도 점차 활동복으로 간소화하게 마련이다. 식생활도 그러한 것이다.
Politics, judicial system and human rights have gradually become more advanced with social progress. So has culture. For example, Korean traditional dress from the Joseon Dynasty called the Hanbok, is bound to gradually become simplified to facilitate daily life, even if we didn’t necessarily convert to a Western style clothing. The same goes with the dietary lifestyle.
만일 과거나 전통만을 고집한다면, 어떤 이가 말하기를 왕정과 그 세습제도는 과거의 아주 오랜 전통이며 과거의 세계적인 정치제도 엿기에 현 민주제를 폐지하고 왕정을 복구하고자 주장한다면 그것은 근본적으로 성립될 수 없는 주장과도 같은 것이다.
If you were to insist on only the past and tradition, it will be like arguing that monarchy and its system of hereditary succession as part of our long tradition should be restored and current democracy abolished. It’s an argument which fundamentally cannot be taken seriously.
먹을 거리가 제한되었었고 육체노동이 심했던 과거에는 개고기 식습이 용납될 수 있겠으나 지금은 취하 고기종류도 많고 고달픈 노동은 대게 기계가 대신하고 인간의 정서도 고매해지기가 요구되는 입장에서 볼 때는 애완동물에 속하는 개고기 식습관은 야만적 행위라 할 것이다.
Even though dog meat consumption could be accepted in the past when the food was scarce and physical labor was severe, the consumption of animals that are considered companions is barbaric in today’s environment, where varieties of other meat are plentiful, where machines have replaced most of the hard physical labor, and where the noble human emotion is demanded.
개는 대개 인간이 그 집을 지키고자 키우기 시작했던 보디가드로써의 역할을 하였던 점에서, 또 말도 전쟁터에서 주인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사육된 점에서 인간과 밀접하게 살을 맞대고 사육했던 개와 말에 대한 도살과 그 고기의 식습관은 인간신뢰에 대한 배신으로 여겨질 것이며 어떠한 변설을 늘어놓더라도 그 죄의식을 떨쳐버릴 수 없을 것이다.
Because humans began raising dogs to guard homes, as bodyguards and bred horses to protect their masters’ lives on the battlefield, these animals co-existed with humans in a close relationship. Therefore, slaughtering them and eating their meat should be considered a betrayal of their faith placed in humans. Regardless of the excuses for justification, we will not be able to shake off the guilt.
끝내 전통을 말하는 이가 있다면 필자는 다음의 질문을 하고자 한다.
Despite what I’ve said, if you insist on tradition, I would like to ask the following question.
동양 문화의 중요한 한 원천이 중국문화인데 중국문화의 식습관에는 인육식습(人肉食習)이 있다.
One of the origins important to Eastern cultures is Chinese culture and among Chinese food cultures there was consumption of human flesh.
흉작으로 인명이 기아로 죽어가는 때에 그 시체를 잡아먹던 것이 시발이 되어 나중에는 먹고 싶어 살인을 하기도 하고 사형수의 시신을 귀족들이 달려가 뜯어먹었으며, 그러한 인육식습은 중국고유의 식문화가 되어 송대(宋代) 말기에는 『철경록(輟耕錄)』이라는 인육요리책자가 발간되기도 하였다. (참조: 교문사 발행 ‘中國의 食人文化’)
It began when people died of starvation due to poor harvests and were eaten, and later on people would commit murder to satisfy their appetite, such as aristocrats who would rush to take away and eat the corpses of death-row convicts. Cannibalism became endemic in Chinese food culture and even a cook book for human flesh called “Cheol-Gyeong-Lok” was published during the late Song dynasty (Reference: Gyo-Mun-Sa Publication China’s Culture of Cannibalism).
또 대 성인이라는 공자(孔子)도 평소 해(?)라는 인육요리를 즐기다가 사랑하는 제자 자로(子路)가 살해되어 그 시신이 이 해라는 요리로 공자에게 배달되자, 그 때부터는 공자도 인육을 먹지 않았따고 하니 과연 인육식습은 중국의 전통적인 고유문화인 것이다.
Moreover, the so-called great saint Confucius also enjoyed eating human flesh until his beloved disciple Jaro was murdered and served to him as a dish called ‘Hae’. So indeed, cannibalism is a distinct Chinese tradition.
그렇다면 오늘날 전통보전과 문화의 다원주의 차원에서 중국의 인육식습을 중국인들이 마땅히 보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어떻겠는가.
But if the Chinese insisted that cannibalism must be preserved today as a part of their tradition and cultural pluralism, how would this be received?
이 다원주의는 여러 방면에서 곧잘 등장하는 용어인데 이것 또한 그 폐단의 그림자가 짙은 것이다.
The term pluralism is used in many fields, but this term can have a dark side of evil.
세상에는 많은 진리적 주장이 있지만 결코 최고로 우수한 진리가 인간들에게 선택되어질 것이다.
There are a lot of claims of truth in this world but the greatest truth will be selected by people.
다만 상호 지나친 전쟁적 갈등을 지양하는 점에서 다원주의가 한때나마 필요하지만은 결국에는 자연히 열등하고 잘못된 것들은 사라지고 하나의 진리만이 남게될 것이다.
Although pluralism might be necessary to prevent excessive warlike conflicts among different parties, eventually inferior and wrong claims will naturally disappear and only one truth will remain.
이 다원주의가 잘못 주장되면 그것은 결국 자신의 부정과 무능과 태만을 감추는 방패막이에 불과한 것이다.
If pluralism is interpreted incorrectly, it can become a shield that hides fraud, incompetence and negligence.
그 일례로 박정희 전대통령은 과거에 자신의 장기집권을 변명하기를 한국 실정에 맞는 소위 ‘한국적 민주주의’를 주장했지만 그것은 대만의 총통제를 도입하여 종신 대통령으로 영구집권을 도모하려 했다는 것은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이다.
For example, in the past, to defend his long-term seizure of power,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argued for a so-called “Korean style democracy” appropriate for the circumstances of Korea. However, it is a known fact that he planned to permanently hold on to power by introducing Taiwan’s Presidential system.
셋째, 동물애호라는 서양사상으로 동양을 재단해서는 안된다는 주간지『한겨례21』의 주장은 어떠한가. 이는 사실 설명할 필요조차 없는 아주 무식한 주장으로 해당언론의 수준미달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Third, what about the weekly magazine Hankyoreh21‘s argument that the East should not be adjudicated to the West with its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This is in fact a very ignorant argument that does not even need an explanation and clearly shows that the media is not up to standard.
불교에서는 의식이 있는 동물을 함부로 죽이지 말라 했고 우리의 건국설화가 담긴 단군 설화에서는, 곰과 호랑이에게 인간이 될 기회가 주어졌으나 곰만이 그 시련에 합격하여 여자가 되고 그녀는 환인의 아들인 환웅과 결혼하여 인류의 시조인 단군을 낳았다고 하였다.
Buddhism instructs us not to kill conscious animals. In the Dangun tale containing the story about the birth of our nation, a bear and a tiger are given opportunities to become human but only the bear passes the challenge, becomes a women, marries Hwan-Woong, the son of Hwan-In (means God) and gives birth to Dangun, the progenitor of mankind.
또 『삼일신고(三一伸告)』라는 단국경전에서는 사람과 사물이 모두 세 가지 진실을 함유하고 있다.(人物(인물)이 同愛三眞(동애삼진)고 하였다. 그리고 대중문학인 ‘흥부전’에서는 제비다리를 고쳐준 흥부가 하늘의 큰 복을 받았다고 하였다.)
In addition, in a Dan-Guk-Gyeong-Jeon(a sacred scripture) called “Sam-Il-Sin-Go,” humans and objects are both said to hold three truths. (Humans and objects are one love and have three truths. In a popular literature Heung-Boo-Jeon, Heung-Boo, who treats a swallow’s broken leg, receives a big reward from the haven.)
이와 같이 우리 전통사상에는 동물과 자연을 인간과 친화적인 관계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불교는 더 이상 말할 것도 없는 것이다.
Thus, we know that in our traditional ideology animals and nature are understood as hav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humans and in Buddhism this is even more so true.
불교의 동물애호사상은 산목숨을 살려주는 방생(放生)의식에서 단적으로 잘 나타나 있다.
Buddhism’s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is directly presented in the ceremony of releasing captive animals to spare their lives.
한국의 전통사상이 동물 애호적인 반명에 서양사상은, 신이 인간을 위하여 만물을 창조했다고 믿기 때문에 자연훼손은 물론 동물도 얼마든지 죽여서 식사거리로 삼을 수 있다고 했고, 불교도라면 누구든지 기독교인들로부터 그러한 힐난을 한번쯤은 받은 것이다.
While Korea’s traditional ideology is humaneness toward animals, Western ideology has a Christian tradition where God created all things in the universe for humans and allows the destroying of environments as well as the killing of animals to eat. Anyone who is a Buddhist would have been criticized by the Christians at least once for their difference in belief.
그런데 이러한 개고기논쟁에서, 동물애호사상이 서양사상이라는 주장이 공개적으로 제창되고 있으니 이 얼마나 한심스러운 논리이며 도리어 서양사상을 우상화 시키는 역효과를 내고 있는 것인가.
However, in this dog meat debate what a pathetic logic it is to say repeatedly that the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is a Western ideology, as well as producing an adverse effect of idolizing the Western ideology?
서양의 동물애호사상은 동양에서 건너간 것이라는 사실을 주간지 『한겨례21』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The weekly magazine HanKyoreh21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Western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moved across there from the East.
개고기 논쟁을 계기로 『한겨례21』은 동물차별사상은 동양사상이라고 강변한 셈이 된 것이다.
Through this dog meat debate, Hankyoreh21 ended up insisting obstinately that the animal discrimination ideology is an Eastern ideology.
이 논쟁을 보며 몇 가지 집고 넘어갈 문제가 있다.
We must examine a few points from this debate.
첫째, 우리의 한국 사회가 이성보다는 이권에 바탕을 둔 대중적 선동술의 판을 치는 성숙하지 못한 사회라는 점이다.
First of all, our society is an immature society where popular attitudes based on one’s self-interest rather than intellect abound.
이 점은 정치나 사회 각계 각층에서 많은 사람들이 실감하는 내용이다.
A lot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ll political and social strata, would agree with this view.
둘째, 일부 언론들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업자들의 요구에만 응한다면 그것은 논쟁이 아니라 의견광고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Second, if any of the media were to fail to perform their function and only accede to the dog meat trader’s demands, it would be no more than advertising (an infomercial) rather than informed debate.
결국 자신들의 독단을 깨닫지 못하고 국민들의 여론을 오도(誤導)하고 있는 것이다.
In the end, the media ends up misleading the public opinion of citizens by not acknowledging its own dogmatism.
만일 언론 스스로의 과오를 깨닫지 못하고 과거처럼 군부독재만을 비판하는 일에 치중하는 태도로 일관한다면 그것은 더 무서운 언론의 문필독재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If the media were to fail to realize its own mistakes and maintain a type of attitude that focused only on criticizing military dictatorships like in the past, that would result in a more dangerous journalistic dictatorship.
셋째, 동물에 대한 무차별한 실상을 잘못된 한의학이 조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rd, unscientific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encouraging the indiscriminate use of animals.
약재의 공급원을 자연상태 그대로 채취하여 사용하려는 것은 약의 성분이 규명안된 구시대의 방법이다.
Using sources collected in their natural states as medicine is a method of the old days, when the medicinal ingredients were not identified.
그러나 오늘날 그 약효를 유발하는 성분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f there are medicinal ingredients in these animals and they were scientifically identified, then today we can synthesize them artificially and use that medicine.
그럼에도 아직까지도 한의학이 옛날 방식대로 행하여 동물들이 무차별하게 살상되어 약재로 사용되고 만일 그러한 가치가 사람의 장기에 까지도 이른다면 그것은 야만과도 다름없을 것이다.
And ye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ntinues to practice the old methods of indiscriminately slaughtering animals to use as medicine, and if these practices are extended to using human organs, it will be no different than barbarism.
한의학의 교본인 『본초강목』은 제52권 인부(人剖)에서는 사람의 모든 장기도 가공하여 치병에 쓰인다고 했기 때문이다.
Bon-Cho-Gang-Mok (a medical book written by Si-Jin Lee of the Ming Dynasty in the 16th Century) is a textbook for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mposed of 52 chapters, and it has a chapter on human anatomy stating that all organs of human can be processed and used to treat illnesses.
한의학이 이제는 크게 각성하여 과거와 같이 동물살상이나 사주하지 말고 더 한 단계를 발전을 이루어 동양본애의 동물애호사상에 부합되는 의학으로 변하여야 할 것이다.
Now is the time for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awaken, stop inciting animal slaughter as did in the past, take a step forward towards progress and change itself as a medical science that conforms to the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s”.
넷째, 불교인구가 전국민의 절반에 이르지만 불교가 이 사회의 지도적 위치에 서지 못하고 사회와 겉돌고 있으며 하나의 ‘뒷골목 종교’수준으로 도외시되고 있는 점이다.
Fourth, despite the fact that Buddhists make up half of our total population, Buddhism hasn’t taken a leadership position in our society. It is out of step with the core of society and is neglected as a “back alley” religion.
종권다툼에는 엄청난 광적인 열광을 하면서 정작 중요한 여러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영향력이 미비하고 오늘날 동물애호사상이 서양에서 발생하였다는 주장까지도 횡행하게 되어도 뒷짐이나 지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While Buddhists are fanatically passionate about their struggle for religious rights, it’s a reality that when it comes to important social issues their influence is minor. They take a backseat when the argument that today’s ideology of “Humanity towards animal” originated from the West is rampant.
이러한 천민불교 형태에서 하루바삐 벗어나 이제는 진정한 개혁을 하여야 할 것이다.
We must escape from this type of lower class Buddhism as soon as possible and bring about a genuine transformation.
다섯째, 사실 개고기 식습의 근거는 개가 그 교미시간이 한시간 이상으로 소나 말에 비하여 몇 곱절이다.
Fifth, the basis for dog meat consumption is that a dog’s mating time is over an hour and several times longer than for cows or horses.
그 점은 뱀이 더하지만,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는 개와 뱀을 정력제로 생각하고 먹는 것이 그 저간의 진정한 이유이다.
Snakes have even longer mating time than dogs and this is the real reason why Koreans eat dogs and snakes, seeing them as sexual enhancers.
이러한 한국인들의 정력에 대한 과도한 집념은 한국이 성폭력이 세계 3위인 점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Such an excessive obsession over virility by Koreans probably has a correlation to the fact that Korea ranks third in the world for sexually violent crimes.
또 과도한 성집착은 고아수출과 무절제한 낙태가 빈발한 사회의 원인이 되지 않나 분석이 된다.
Furthermore, it can be analyzed that an excessive sexual obsession is most likely the cause of our society’s frequent orphan exports and reckless abortions.
낮에는 전쟁 등 한국적인 불열상에 열중하고 밤에는 성에만 탐닉한다면 이는 한국특유의 천민문화*상놈문화가 될 것이다.
If we are only absorbed in Korean-style divisional conflicts during the day and indulge only in sexuality at night, this would be a lower class culture distinctive to Korea.
겨울철이면 골짜기의 개울 돌틈사이에서 동면하는 개구리를 무차별로 잡아먹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우리 국민들에게는 상스러운 측면이 있다.
When we see people indiscriminately preying on frogs hibernating between the crevices in the creek during winter, we know for sure that Koreans have a vulgar characteristic in them.
이들은 저 개구리도 정력을 돋구는 것으로 믿고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y even search for frogs with the belief it will enhance virility.
이상 살펴볼 때, 개고기 식습관은 현대에는 걸맞지 않는 폐풍이오, 국민들의 정신 건강에 아주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악습이다.
As we have examined so far, dog meat consumption is an evil custom that doesn’t belong in a modern society, as well as a vice harmful to the mental health of our citizens.
우리 사회가 고래로 정치, 경제, 종교 등의 각계각층에서 사분오열되는 내분에 국력을 낭비하는 것은 정을 들여 키운 개를 하루 아침에 도살하여 잡아먹는 데서 오는 인간신뢰에 대한 상실로 인한 배반의 악습이 인간 상호간에도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파생된 당연한 결과라고 필자는 본다.
In my opinion, the fact that our society has been wasting national resources on utterly divisive internal conflicts in all walks of life,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religion from ancient times is a natural result of evil practice of betrayal and a loss of trust in humanity through the slaughtering and eating of dogs which is then applied in human interaction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또 이 개도살에 따른 공해가 심각하다.
Additionally, the slaughter of dogs causes severe pollution.
개를 집단으로 사육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소음이 발생하여 공중적 폐단이 매우 심각하다.
In the process of mass breeding of dogs, a lot of noise pollution occurs and its negative effects on the public are serious.
소음을 줄인다고 강제로 개의 고막을 파열시키는 잔인함까지 저지르니 개고기를 먹기 위하여 못하는 짓이 없다.
To solve that dog farmers commit the cruelty of forcibly bursting dogs’ eardrums to reduce the noise of barking. There isn’t anything they won’t do in order to eat dog meat.
또 부분적으로는 고기의 맛을 내기 위하여 목을 매달아 놓고 개의 전신을 몽둥이로 사정없이 가격하여 내장이 파열되게 하여 잔인 무도하게 죽이는 경우까지 있으니 참으로 인간말종적 행위라고 할 수있다.
Moreover, to flavor the meat, sometimes the dogs are hung by the neck then mercilessly bludgeoned all over with a club, bursting their internal organs and killing it brutally and heartlessly. We must indeed call this a scumbag behavior.
죽은 후에는 또 털을 제거한다고 불에 그을려 그 냄새가 동네를 진동케하니 얼마 되지도 않는 살을 먹기 위하여 이러한 인간정신에 악영향을 끼치고 사회에 큰 공해가 되는 일을 생업으로 삼는 개장수 업자들이 수도 없으니 참으로 국력의 낭비요 인간사회에 대한 모독이 아닐 수 없다.
And even after the dog is dead, it is blowtorched to burn off their fur, causing odors to spread throughout the neighborhood. There are so many dog traders who make their living adversely effecting human minds and greatly polluting the society just for the eating of dog meat. This is in fact a waste of national resources as well as blasphemy against human society.
흑자가 묻기를 이러한 필자의 주장에, 개나 소나 모두 동물인데 차라리 채식주의를 외치던가 하지 왜 하필 개고기만을 반대하느냐 한다면, 그것은 불교의 중도적 입장에서이다.
If someone were to ask me why not just preach vegetarianism instead of opposing only dog meat consumption, since dogs and cows are all animals, it’s because I take a Buddhist’s moderate standpoint.
개가 인간과 같다고는 절대로 볼 수없다.
We can never consider dogs and humans to be equal.
그러나 인간 생활과 가장 가까운 동물인 개만은 특별히 봄으로써 인간의 동물에 대한 사랑의 의식 전환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However, by considering dogs who are closest to our lives differently, we lay a foundation for the transition of our consciousness regarding a love for the animals.
다른 고기도 먹지말자하면 그것은 자칫 특정 종교의 신조로 비추어질 것이며 또 실현될 수 없는 주장과 같다.
Asking people to refrain from eating all meat can easily be considered as a creed of a certain religion and it will be like an argument that can never be realized.
개도살을 방지한다면 은연중에 다른 동물에도 깊은 애정을 가지게 될 것이다.
When we prevent the slaughter of dogs, we will implicitly develop deep affection towards other animals as well.
흑자는 동물에 대한 사랑을 인간사랑으로 대신하는 위선으로 보는 측면도 있으나 동물도 사랑하는데 인간사랑은 말 할 것도 없는 것이며 동물사랑은 인간에 대한 절대적인 사랑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Some people may look upon the love for the animals as hypocrisy and think it replaces love for fellow humans. However, there’s not even a need for discussion on this because someone who loves animals would without a doubt love fellow humans, and also love for the animals would be an opportunity to develop unconditional love for the fellow human.
불교자체의 입장에서 볼 때는 개는 인간생활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인간의 윤회환생도 잘 된다고 볼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Buddhism, because dogs are very close to our lives, they are often reincarnated as humans in the infinite cycle of life, death and rebirth.
『목련경(木蓮經)』에도 보면, 부처님의 제자 목련의 어머니가 생전에 죄를 지어 지옥고를 마치고는 개의 몸을 받아 태어났다고 하였다. When you look at the Mook-Ryun-Gyeong(a Buddhist scripture, Sutra), it’s written that the mother of Mook-Ryun(a disciple of Buddha) sinned while living, endured the suffering of hell, and was reborn as a dog.
다분히 믿기 어려운 신화적 이야기지만 일제 때에는, 강아지를 박대한 한 집주인의 꿈에 죽은 어머니가 나타나 ‘네가 나를 그토록 박대할 수 있느냐’ 하며 크게 꾸짖기를 며칠을 반복하다가 집주인은 끝내 그 강아지가 어머니의 환생임을 믿고 극진히 대했다는 것은 불가의 유명한 설화인 것이다.
Although this is a mythical tale difficult to believe, there is a famous tale in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bout a man who was abusive towards his puppy, and he had dreams where his deceased mother repeatedly appeared and harshly scolded him by saying “how could you continue to abuse me so much?” Finally he came to believed that his dog was his reincarnated mother and thereafter treated the puppy with kindness.
인간생활의 품위유지와 그 정서의 순화와 사회의 평화를 위하여 개도살과 개고기 식습관은 마땅히 없어져야 할 것이다.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human life, to purify of our emotions for the peace in our society, dog slaughter and dog meat consumption must disappear.
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금지하는 현행대로 철저히 집행하여 개의 무자비한 타살이나 소음공해 등은 엄격하게 다스려 이 사회에서 근절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must strictly govern and eradicate ruthless dog killing and dog farm noise pollution from this society by actively intervening in this issue and thoroughly enforcing the current laws prohibiting this practice.
동물애호 입장에서 본다면 스페인의 투우도 문제가 심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animal rights activists, Spain’s bullfighting is also a serious problem.
투우(鬪牛)는 소를 철저히 희롱한 다음 단칼에 즉사시키는 잔인 무도한 경기를 군중단위로 즐기는 잔악한 게임으로 마땅히 국제적으로 비난과 압력을 행사하여 근절토록 해야 할 것이다.
Bullfighting is an atrocious game where the spectators enjoy the cruel and evil competition of a bull being thoroughly ridiculed and then killed with a single stroke of sword. It must be eradicated through international condemnation and pressure.
스포츠인 복싱도 사람의 제일 중요한 머리를 가격하여 즉시에 쓰러뜨리는 잔인한 게임으로 실제로 종종 선수들이 사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일부 의사들은 복싱을 법으로 금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Boxing also is a cruel game that strikes the head, the most important in human, knocking people out and occasionally we can witness some of these fighters dying. Some doctors have argued that boxing should be prohibited by law.
그 외 아이들의 장난감에서 총이며 칼 등이 흔한데 그러한 것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게 되어 잔인 무도한 밀림 적이고 전쟁 적인 사회를 조장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In addition, guns, knives and other weapons are common among children’s toys and promoting these to children results in the encouragement of a cruel, evil, barbaric and combative society.
개고기 논쟁이 우리 사회의 구석구석에 잔재한 폭력적 야만으로 다스릴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이미 죽은 수많은 개들은 그야말로 개죽음이 아닌 사회평화의 중요한 밑받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f this dog meat debate paves the way to control the violent barbarism in every corner of our society, then the countless dogs already dead would not have died in vain, but would have played the role in the important foundation for peaceful society.
[1996년 9월호 '정법세계']
[September 1996 'World of Established Rule']
Shortlink: http://koreandogs.org/?p=5557
Sign the petitions!